관리 메뉴

HAMA 블로그

카우치베이스(Couchbase) - 아키텍쳐 구조 본문

NoSQL

카우치베이스(Couchbase) - 아키텍쳐 구조

[하마] 이승현 (wowlsh93@gmail.com) 2015. 5. 6. 11:06


카우치베이스의 아키텍쳐에서는 하둡 HDFS + MongoDB 의 냄새가 난다. 

Name 노드의 역할을 Cluster Manager

Data노드의 역할을 Data Manager 가 하고있다.

Cluster Manager 는 블럭 (카우치베이스에서는 버켓정보) 을 관리하고있고,

DataManager 는 메모리/물리계층의 데이터관리를 하고있다.

HDFS 처럼 클라이언트는 직접 데이터매니저로 접근해서 Query Engine 호출한다.


아래 글은 http://bcho.tistory.com/934  에서 가져온것으로 잘 정리되있다.







Couchbase Server

#6. Couchbase server 구조



 


소개


예전에 메모리 캐쉬 솔루션인 memcached에 디스크 persistence 기능을 추가하여 membase라는 솔루션이 있었는데, 이 제품에 Apache의 카우치디비(CouchDB)를 기반으로 새롭게 만든 솔루션이 카우치베이스 Server 라는 NoSQL 솔루션이다.카우치베이스는 mongoDB나, Riak과 같이 JSON document를 직접 저장할 수 있는 Document DB 형태를 가지며, NoSQL의 분산 이론인 CAP theorem에서 CP (Consistency & Partition tolerance) 의 부분에 해당하여 데이타에 대한 일관성과, 노드간의 네트워크 장애시에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 6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가치를 인정 받고 있는데, mongoDB나 Cassandra에 가려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 같아서, 이번 글을 통해서 소개하고자한다.


특장점

Memcached 기반의 Level 2 캐쉬를 내장하여 빠름

모바일 디바이스와 Sync

데이타 센터간 복제 가능

Indexing, Grouping ,Ordering,Join 가능

확장이 쉬움

Built in 관리 도구 제공

Memcached 프로토콜 지원


스키마가 없는 유연한 저장 구조 (Scheme-less)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카우치베이스의 아키텍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노드와 클러스터 (Node & Cluster)

노드는 물리적인 서버에서 기동하는 하나의 카우치베이스 인스턴스로, 카우치 베이스는 여러 개의 노드로 이루어진 클러스터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SDK (Client SDK)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카우치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API(SDK)를 제공한다.


vBucket 개념

카우치베이스는 실제데이타와 물리서버간의 맵핑을 vBucket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관리한다. 카우치베이스는 키-밸류 스토어이다. 그래서, 각 키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vBucket이라는 단위로 관리 하는데. 키에 대한 해쉬값을 계산한 후에, 각 해쉬값에 따라서 저장되는 vBucket을 맵핑한다음 각 vBucket을 노드에 맵핑한다.

아래는 서버 3대가 있었을 때, vBucket을 맵핑하는 구조에 대한 예제이다.



※ 출처 : http://docs.couchbase.com/couchbase-manual-2.5/cb-admin/#vbuckets

클라이언트 SDK는 이 vBucket와 노드에 대한 맵핑 정보를 클러스터로부터 받아서 관리한다. 즉 키에 대한 물리적인 서버 맵핑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SDK를 통해 직접알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PROXY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로 접근이 가능하다.

CF. mongoDB의 경우 중간에 Proxy를 거쳐서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 노드로 접근하게 된다.

만약에 노드가 추가되거나 삭제되었을 때,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다른 노드로 다시 분산 배치되고, 새롭게 배치된 데이터에 따라서 vBucket to 노드간의 데이터 맵핑 정보도 업데이트 되는데, 이를 Rebalancing이라고 한다. (Rebalancing에 대한 내용은 뒤에 다시 설명)



http://docs.couchbase.com/couchbase-manual-2.5/images/vbuckets-after.png 


노드의 상세구조

그러면 각 노드는 어떤 형태로 구성이 될까? 아래는 노드의 대략적인 아키텍쳐이다.

카우치베이스의 노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 좌측의 Data Manager와 우측의 Cluster Manager로 나뉘어 진다.




Cluster Manager

Cluster Manager는 노드에 대한 상태와 클러스터에 대한 상태, 설정등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Erlang/OTP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 상위단에는 Admin Portal을 위한 Web UI가 8091 포트로 제공되고 있고, 같은 포트로 REST API가 함께 제공된다.

카우치베이스는 클라이언트 SDK는 이 8091 포트의 REST API를 통해서, 설정 정보와 앞서 설명한 vBucket 정보를 읽어온다. 여기에는 실제로 데이터에 대한 set/get이나 뷰 쿼리 수행용 포트정보도 포함이 되는데,  아래 Data Manager에서 제공되는 11211 포트나, 8092 포트가 사용된다..

그 외에도 클러스터 노드간의 통신을 위한 4389, 21100 포트등 다수의 포트가 사용되는데, 카우치베이스는 서버-클라이언트, 서버-서버간에 사용하는 포트들이 많기 때문에, 배포 전에 반드시 포트들을 확인하고 방화벽이나 네트워크 설정에 반영해야 한다.

※ http://docs.couchbase.com/couchbase-manual-2.5/cb-admin/#faqs 문서를 보면 배포시 오픈해야 하는 포트들이 설명되어 있다.


Data Manager

Data Manager 부분은 직접 데이터에 접근하는 부분으로 set/get 메서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뷰에 대한 쿼리를 수행할 때 접근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맨 아래단에는 멀티쓰레드 기반의 Persistence 엔진이 있으며,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드릴때 사용되는 컴포넌트이다. 그 윗단에는 memcached가 있으며, 데이터를 캐슁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이 계층에서 뷰에 대한 쿼리 엔진이 제공된다.

Memcached 위에는 moxi 가 Proxy로 사용된다.


데이터 쓰기와 복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 쓰기가 발생했을 때, 카우치베이스는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할까?

먼저 클라이언트에서 Client SDK를 통해서 쓰기 요청을 하면, Client SDK는 해쉬 알고리즘에 따라데이터의 키 값에 맵핑 되는 vBucket을 찾아내고, 그 vBucket에 맵핑 되는 노드를 찾아서 쓰기 요청을 전달한다.

쓰기 요청은 해당 노드의 Listener로 전달되고, 이 Listener는 들어온 데이터를 로컬의 캐쉬에 쓰고 클러스터의 다른 노드로 복제 요청을 보낸다. 그리고 데이터는 노드의 디스크에 저장된다.




쓰기 과정중에 노드간의 복제가 발생한다.


노드별 메모리 레이아웃

그러면 각 노드별로 메모리 레이아웃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카우치베이스의 경우, memcached를 이용하는 만큼 서버의 메모리 공간 계산이 매우 중요하다. 앞서 글들에서도 설명하였지만, 메모리에 대해서 고려할 때, 카우치 베이스는 버킷의 키를 모두 메모리에 로딩해놓고 있다. 최소 메모리 공간은 전체키의 합보다는 최소한 커야 한다.그리고 각 도큐먼트당 60바이트의 메타 정보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키크기 + 60 바이트)*전체레코드수 / 노드수 * 3 (복제본수) 가 노드당 최소 메모리양이다. 최소 메모리란 말 그대로 최소한 돌릴 수 있는 수준을 이야기하는 것인데, 이 경우에는 캐쉬를 전혀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메모리 용량으로 서버를 운영하면 절대 안된다. (말그대로 아주 최~~소한이다.)


전체 하드웨어 공간에서 OS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용량을 제외 하면, 카우치베이스의 노드가 그 메모리 공간을 활용하는데, 카우치베이스에서는 노드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버킷별로 다시 할당한다. (버킷을 생성할 때 설정할 수 있음)


리밸런스(Rebalance)

리밸런스 노드가 클러스터에 추가되거나, 장애등의 이유로 삭제되었을 때 데이터를 다시 노드에 분산 배치를 하는 작업이다. 노드간에 데이터 복제가 심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리밸런스는 부하가 적은 시간대에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관리 콘솔을 보면 리밸런스를 멈추거나 시작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향후에는 리밸런스를 Throttling 하는 기능이 나온다고 하니 기대해볼만하다.

NoSQL의 경우 특정 노드가 장애가 나서 시스템이 장애 나는 케이스보다 보통 노드를 추가/삭제할때 발생하는 이런 리밸런싱에 의해서 부하가 올라가거나 해서 장애가 나오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XDCR

XDCR은 데이타 센터간에 카우치베이스 클러스터 데이타 복제를 지원하는 기능이다.

현재 최신 버전은 2.5 버전인데, 2.5 버전에서는 XDCR을 TLS/SSL을 이용해서 복제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보안을 지원한다. 그렇지만 무료 버전인 2.2 (Community Edition)의 경우 TLS/SSL 기반의 복제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VPN 기반의 네트워크를 터널을 설정하고, VPN 터널을 통해서 XDCR 복제를 하도록 가이드 하고 있다.


Couchbase Gateway & CouchBase Mobile

카우치베이스의 흥미로운 점중의 하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는 Couchbase Lite버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iOS,안드로이드 버전을 제공하며, 또는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자바버전과 .NET  버전도 제공된다. (모두 Community edition이 제공된다)

이 Couchbase Lite는 Couchbase 서버와 동기화가 가능하다.


다 못한 이야기

개발 관점에서는 GET/SET그리고 뷰 정도로 간편하지만, 운영과 설정에 대해서는 많아도 너무 많다. 대략적인 사용방법 아키텍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언급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서 몇 가지만 언급하고자 한다.

카우치베이스는 다양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른 솔루션과의 연동을 지원한다.

Elastic Search와 연동을 통하여 데이터에 대한 FTS (Full Text Search : 검색)을 지원할 수 있으며, Hadoop 연동을 통해서 Map & Reduce 기반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 오픈소스 ETL인 Talend 연동을 통해서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으로 연동(복제)가 가능하며, 마지막으로, 데이터 암호화 솔루션인 Gazzang과 연동을 통해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http://www.couchbase.com/couchbase-server/connectors



'No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o4j - 인덱스 사용하기  (0) 2015.10.30
Neo4j 인사이드 : 파일 스토리지  (0) 2015.10.30
시계열 DB (OpenTSDB , 인플럭스 DB , Graphite ) 정리  (0) 2015.10.22
MongoDB vs Couchbase (2)  (0) 2015.09.03
MongoDB vs Couchbase (1)  (0) 2015.09.0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