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FT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BFT는 분산된 노드들간에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악의적인 노드가 있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여기서 악의적인 노드의 최대수는 N = 3f+1입니다. N : 전체노드 개수 f : 악의적인 노드 개수 따라서 4개의 노드에서는 1개는 악의적인 노드라도 생관없다는 의미입니다. 7개노드에서는 최대 2개.아래 이미지에서는 4개의 노드에서 최대1개의 비잔틴(악의적노드)가 있다고 치고 합의 단계에 대해 설명해보면 Request 단계 클라이언트는 상태변경을 위한 요청 (REQUEST, o, t, c)sc 을 대표 노드에 보냅니다. 참고로 이 대표노드(Primary) 또한 비잔틴이 될 수 있으며 그땐 새로운 대표노드를 선출 하게 ..
블록체인
2020. 1. 3. 19:5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블록체인
- 파이썬 동시성
- 스위프트
- 그라파나
- akka 강좌
- 파이썬 데이터분석
- Golang
- play 강좌
- Akka
- CORDA
- 파이썬
- 스칼라
- 하이퍼레저 패브릭
- 안드로이드 웹뷰
- 파이썬 강좌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Play2 로 웹 개발
- Play2
- 스칼라 강좌
- 이더리움
- 하이브리드앱
- play2 강좌
- 플레이프레임워크
- 스칼라 동시성
- 파이썬 머신러닝
- hyperledger fabric
- Adapter 패턴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주키퍼
- Acto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