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HAMA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HAMA 블로그

검색하기 폼
  • 전체 (687)
    • 주인장 (9)
    • 잡동사니 (2)
    • 소프트웨어 사색 (81)
    • Rust (0)
    • tech shard (비공개) (0)
    • 그래픽스 (3)
    • 데브옵스 (5)
    • 데이터 가시화 (d3.js , Plotly, Gr.. (18)
    • 디자인패턴 (10)
    • 무들 (moodle) (17)
    • 보안 (6)
    • 뱅킹 & PG (5)
    • 블록체인 (55)
    • 알고리즘,자료구조 (4)
    • 서버 &컨테이너 & 도커등 (2)
    • 오픈소스, 미들웨어 (9)
    • 임베디드 (4)
    • 인터프리터 (4)
    • 하이브리드앱 (9)
    • 아이폰 (IOS) (10)
    • 안드로이드 (14)
    • 운영체제 (1)
    • 아마존 AWS & 클라우드 (5)
    • 테스트 (1)
    • 통계 & 머신러닝 & 딥러닝 (39)
    • Angular & React (3)
    • Akka (27)
    • CUDA (1)
    • Flask (5)
    • Go (17)
    • HAMA (3)
    • Hadoop (7)
    • Haskell (1)
    • IoT (32)
    • IoT 데이터 분석 (NILM) (10)
    • IoT 전기자동차 (4)
    • IDE & 기타 툴(tool) (3)
    • Javascript (12)
    • Java (31)
    • Kotlin (10)
    • Math (1)
    • Netty, Java IO (8)
    • Network (7)
    • NoSQL (7)
    • Node.js (1)
    • OpenMP,PPL (4)
    • OpenCV, Halcon (1)
    • OpenGL , WebGL (0)
    • PlayFramework2 (35)
    • Amp,CUDA,OpenCL,TensorFlow (1)
    • Python (37)
    • RDBMS (PostgreSQL) (11)
    • Scala (51)
    • Spark (5)
    • Spring (9)
    • UI , UX 디자인 (6)
    • VTK (1)
    • Vert.x (13)
    • WAS & 웹서버 (3)
    • Zookeeper (2)
    • C++ (비공개) (4)
      • 문법 (1)
      • TR1 (0)
      • Algorithm (0)
      • container (0)
      • Date Time (0)
      • Exception (0)
      • FileSystem (0)
      • Flyweight (0)
      • function (0)
      • Functor & binder (0)
      • Geometry (0)
      • Graph (0)
      • IO Stream (0)
      • InterProcess (0)
      • Interator (0)
      • Lamda (0)
      • Localization & UTF-8 (0)
      • log (0)
      • Math, numeric (0)
      • memory&pool (0)
      • meta class (0)
      • metwork & ASIO (0)
      • PropertyTree (0)
      • Regex (0)
      • Signal (0)
      • Singleton_template (0)
      • smartptr (0)
      • speed (0)
      • spirit (0)
      • string (0)
      • system (0)
      • thread & concurrent (0)
      • tokenizer (0)
      • util (0)
      • Timer (0)
    • Meeting (0)
    • OpusM (0)
  • 방명록

hyperledger Indy (1)
DID / SSI 를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 Hyperledger Indy

Hyperledger Indy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Indy는 변화,발전되고 있으며, 인사이드에 대한 정밀한 조사,검증을 하진 않았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읽어 주십시요. 4년전 처음 이글을 적을 때에는 Indy-SDK가 모든 것(블록체인과 인터페이스, DID,VC를 다루는 공통 함수들, 지갑역할, P2P역할, 익명성 역할) 을 다 담고 있었으나 2023년 3월 현재 Indy-SDK는 다양한 모듈별로 나누어진 버전들이 있습니다. (Aries, Indy-vdr,AnonCreds 등) 개요 Hyperledger Fabric과 Ethereum의 경우 Smart Contract/ChainCode 를 통해서 DID/SSI를 (저장역할을) 실현 할 수 있는 범용 플랫폼인 반면에 Indy는 오직 DID를 구축하고자..

블록체인 2019. 10. 23. 12:0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플레이프레임워크
  • play2 강좌
  • 하이브리드앱
  • Play2 로 웹 개발
  • 파이썬 데이터분석
  • Adapter 패턴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Play2
  • play 강좌
  • 주키퍼
  • 스칼라 강좌
  • Golang
  • hyperledger fabric
  • CORDA
  • 파이썬 머신러닝
  • 블록체인
  • 파이썬 강좌
  • 그라파나
  • 스칼라
  • akka 강좌
  • 스칼라 동시성
  • 파이썬 동시성
  • Actor
  • Akka
  • 이더리움
  • 파이썬
  • 스위프트
  • 안드로이드 웹뷰
  • 하이퍼레저 패브릭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