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더리움
- 스칼라 강좌
- CORDA
- Golang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akka 강좌
- 하이퍼레저 패브릭
- play2 강좌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Play2 로 웹 개발
- 스위프트
- 스칼라 동시성
- Akka
- Actor
- Adapter 패턴
- 플레이프레임워크
- play 강좌
- 스칼라
- 파이썬 강좌
- 파이썬
- hyperledger fabric
- 주키퍼
- 파이썬 머신러닝
- 파이썬 데이터분석
- 블록체인
- 파이썬 동시성
- Play2
- 그라파나
- 하이브리드앱
- 안드로이드 웹뷰
- Today
- Total
HAMA 블로그
콘소시엄 블록체인에서의 거버넌스 본문
개인적으로 비트코인,이더리움만 블록체인 플랫폼이라 생각하지만, PBFT나 DPos를 사용한 체인들도 불록체인이라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틀렸다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네트워크 참여가 제한된 콘소시엄형 블록체인 (분산장부라고도 말하는)은 나름 "신뢰비용" 을 줄이는데 잘 사용 될 수 있는 자질을 가졌으므로 이것들 또한 블록체인이라고 불리는데 이제는 순수탈중앙주의자 빼고는 업계에서 합의를 한 분위기인거 같기도 하다. 당장의 호구지책도 중요하니까. 가끔 분산장부와 분산DB가 무슨 차이냐라고 묻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도 큰 차이가 있는데, 첫째 악의의 노드(비잔틴)를 감안하냐, 둘째 불변이 필수적인 데이터만 저장되느냐, 마지막 세째가 바로 여기서 심플하게 이야기할 거버넌스 문제이다.
최근 공공기관이라든지 여러 블록체인 SI사업들이 활발히 진행중인데, 여기서 사용 할 만한 플랫폼은 하이퍼레저패브릭이 거의 필수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유는 쿼롬이라든지, 기타 기업차원에서 만든 (패브릭기반이 아닌) 것들은 거버넌스 작동에 대한 철학이 없으며 지원 또한 거의 없다. 반면에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처음부터 이 거버넌스의 중요성에 집중하였다. 거버넌스 비용을 최소화 해야 콘소시엄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유일한 이유인 "신뢰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거버넌스에 집중해야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으며 기업들은 그에 따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콘소시엄 블록체인은 거버넌스를 유연하게 만들어주어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며,(물론 참여자들의 노력기반하에) 이것의 중요성을 알고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물론 거버넌스가 아예 없는 시스템도 만들 수 있겠지만 , 이 정도면 이제 블록체인이라는 말을 쓰면 안되는 단순 분산DB일 뿐 일 것이다.
참고로 이더리움,비트코인 같은 퍼블릭체인에서의 거버넌스은 순수히 네트워크 프로토콜 상의 보상/조정 시스템에 의해서 돌아가며 모든것이 오픈되어있다. 따라서 좀 더 보안이 필요하며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영역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
그럼 콘소시엄 블록체인에서 거버넌스란 무엇일까?
1. IT 거버넌스
이것은 IT인프라 종류,성능,보안,배포전략등에 관한 이슈를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구성,업데이트 해가야 하는 것을 말한다. IT SLA,OSS,BSS등에 대한 최적화 전략과 합의가 필요하다.
2.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
IT거버넌스와 비슷한데, 네트워크 참여 및 비용에 관한 이슈에 집중되어 있다.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보낼 수 있는 사용자들을 참여/탈퇴/리소스제한에 대한 규칙을 지정하며, 네트워크 사용 및 스토리지 사용 비율에 따른 적절한 비용 분배 규칙도 지정해야 할것 이다.
3. 비지니스 네트워크 거버넌스
네트워크 공동체가 필요로한 사업모델을 수립하고 KYC절차,감사,보고등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공통으로 공유하는 서비스 관리 및 법률/규제 준수 보장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콘소시엄 블록체인은 참여자들의 다양한 의미의 수익을 위해서, 공동 창조를 가능하게 해주는 플랫폼이며, 이를 위해서는 각 노드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거버넌스를 이루기 위한 네트워크 모형 중 아래는 설립자 주도형 네트워크 인데
현재의 많은 프로젝트들이 이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턴키를 받아서 "을" 회사에서 주도적으로 만들어 상납하는 구조이다. 네트워크의 참여자들 간의 거버넌스는 전무하며, POC 개념에 머무르고 있는데 좀 더 성숙함에 따라서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떠오를 것이며, 이것을 편하게 만들어주는 UI/UX도 절실할 것이다. 이런 적극적인 거버넌스 참여 없이는 프로젝트는 단발성에 그칠 수 밖에 없으며, 진정한 수익을 거두기도 힘들 것이다.
참고)
Hands-On Blockchain with Hyperledger: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장부 vs 분산DB 란 ? (0) | 2020.11.19 |
---|---|
스마트 컨트랙트 vs 체인코드 (1) | 2020.11.13 |
[하이퍼레저 패브릭] SDS 의 accelerator 분석 (0) | 2020.02.26 |
[하이퍼레저 패브릭] Recovery (0) | 2020.02.12 |
[하이퍼레저 패브릭] 관련 페이퍼 모음 (0) | 2020.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