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리즈는 스칼라언어의 창시자인 마틴 오더스키가 직접 저술한 Programming in Scala (2판) 을 참고로 하여 정리할 예정입니다.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List 특성 스칼라의 배열이 값을 변경 할 수 있는 순서가 정해진 시퀀스라면 스칼라의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값을 변경 할 수 없는 시퀀스입니다. 함수형 스타일이라는것은 메소드 내에서 절대로 부수효과가 일어나면 안되는, 그래서 더 신뢰할 수 있고 재사용하기 쉬운 코드를 만드는게 주 목적이라 , 그 목적에 적합한 콜렉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참고 : 부수효과(부작용)에 관한 이야기 Linked List 식으로 구현 되 있으므로 head / tail 중간 삽입같은게 원할합니다. 생성 배열 생성과 비슷합니다. v..
이 시리즈는 스칼라언어의 창시자인 마틴 오더스키가 직접 저술한 Programming in Scala (2판) 을 참고로 하여 정리할 예정입니다.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Array 생성 스칼라에서 객체로 만들때는 new 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죠 val a = new Array[String](2) // String 타입이 2개 담길수 있는 배열의 객체를 만들었네요. 자 배열에 값은 어떻게 넣을까요? a(0) = "hello" a(1) = "world" 요렇게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눈여겨 볼것은 일단 val 로 선언했는데 값을 바꾼겁니다. 이건 전에 얘기했다시피 변수를 재 할당 할 수 없는거지, 변수가 가르키는 객체 안의 내용은 여전히 변경가능하다는거죠. - 자바에서는 Str..
개인적으로 느끼는 스칼라라는 언어는 , 창시자가 너무 생각이 많구나~ 욕심도 많고 그런 느낌을 받습니다. "내가 쓰기 편하도록 엄청나게 많이 신경썼으니, 니들도 이걸 잘 쓰려면 내가 엄청나게 많이 신경쓴 그 부분들을 너희들도 일단 엄청나게 신경써서 공부해~~ 그 후엔 편해질꺼야" 이건데요. 그냥 안쓸래요. 라고 말해드리고 싶기도 합니다. ㅎㅎ 또한 이 언어는 하이브리드입니다. 함수형과 객체지향 양쪽을 지원합니다. 함수형을 추구하되 객체지향도 쓸 수 있다 정도입니다만, 덕분에 굉장히 강력해 질 수도 혹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딱 맞는 예는 아니지만 마치 하이브리드 객체지향인 C++ 이 더 순수한 객체지향언어인 자바보다 복잡하듯이 말이죠. C++ 개발자중 객체지향에 대해서 잘 모르는 개발자들이 많듯이 스칼라..
- Total
- Today
- Yesterday
- CORDA
- 블록체인
- 주키퍼
- Adapter 패턴
- hyperledger fabric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파이썬 머신러닝
- 파이썬 데이터분석
- 그라파나
- 플레이프레임워크
- 스위프트
- 하이퍼레저 패브릭
- play2 강좌
- Akka
- Actor
- 파이썬
- 스칼라 강좌
- 안드로이드 웹뷰
- Play2 로 웹 개발
- 이더리움
- 스칼라 동시성
- akka 강좌
- Golang
- 파이썬 동시성
- Play2
- 스칼라
- 파이썬 강좌
- 하이브리드앱
- play 강좌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