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줄 정리- 자신과 연계된 UTXO 를 소비 하려면 그때 자신의 서명을 생성해서 트랜잭션 내부의 INPUT에 넣어 보낸다.- 검증노드들은 해당 서명을 이전 트랜잭션의 OUTPUT과 매칭이 되면 ㅇㅋ 해줌- 즉 현재 트랜잭션 내부의 INPUT은 이전 트랜잭션의 OUTPUT과 매칭용이고, 현재 트랜잭션의 OUTPUT은 받는 사람의 계정과 연결되되, 나중에 받는 사람이 이 UTXO를 사용하는 트랜잭션을 만들 때 그 INPUT과 매칭될 것이다. - 최종적으로 TxID를 만드는 과정은 : https://steemit.com/kr/@niipoong/id-create-bitcoin-txid 를 참고한다.받는 사람 : ScriptPubKey(잠금스크립트)에서 OP_HASH160 다음에 위치한 문자열(B라고하자)를 이..
블록체인
2019. 1. 16. 16:4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스위프트
- 하이퍼레저 패브릭
- 주키퍼
- 이더리움
- CORDA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파이썬 머신러닝
- 스칼라
- 스칼라 강좌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하이브리드앱
- 안드로이드 웹뷰
- 블록체인
- Akka
- 그라파나
- play2 강좌
- Golang
- 파이썬
- 파이썬 데이터분석
- Actor
- 스칼라 동시성
- Play2 로 웹 개발
- 파이썬 강좌
- Adapter 패턴
- Play2
- 플레이프레임워크
- play 강좌
- akka 강좌
- 파이썬 동시성
- hyperledger fabri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