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yperledger fabric
- play2 강좌
- 하이브리드앱
- Play2
- 스칼라
- 블록체인
- 스위프트
- 파이썬 데이터분석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play 강좌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Adapter 패턴
- CORDA
- 안드로이드 웹뷰
- 스칼라 강좌
- 이더리움
- 주키퍼
- Actor
- 파이썬 강좌
- 파이썬
- 스칼라 동시성
- Play2 로 웹 개발
- 플레이프레임워크
- 그라파나
- 하이퍼레저 패브릭
- akka 강좌
- 파이썬 동시성
- Akka
- 파이썬 머신러닝
- Golang
- Today
- Total
HAMA 블로그
[하이퍼레저 패브릭]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 본문
얼마전에 블록체인사 CTO분들하고 대화중에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합의 알고리즘에 대해서 얘기하다가 "뇌정지"가 온적이 있다. 비트코인 POW부터 POS,DPOS,PBFT,텐더민트식,캐스퍼등에 대한 이해를 거친후에 더 이상은 컨센서스 알고리즘에 대한 공부는 그만 뒀고, (분산네트워킹만이라도 잘하자 싶어서..)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그냥 실행-오더링-커밋이지 뭐...라고 평소에 생각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정리를 좀 해보려 한다. 알고리즘 자체에 대한 내용이라기 보다는 전체조망이랄까? 주저리주저리 해 볼 생각이다.
거의 유일한 하이퍼레저 패브릭 서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책을 완독한 후에도 합의 관련된 이해는 할 수 는 없다. 관련 내용이 (구체적으로) 없으니까~
즉 모든 원흉은 이 책이다. 농담이다..
400페이지가 넘어가며 정말 많은 내용을 충실히 작성해 놓은 이 책에서 합의알고리즘 내용은
58page에 합의 항목이 나오는데 "하이퍼레저패브릭에서 합의 시스템은 보증-오더링-검증모델 기반하에 플러그인 될 수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오더링 서비스는 합의 시스템을 표현한다." 정도의 표현만 있다.
(근데 사실 이게 핵심이자 모든것이기도 하다.)
이제 본격적으로 히스토리를 살펴보자.
하이퍼레저 패브릭 0.6버전에서는 PBFT를 사용했다고 한다. (PBFT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것은 여기 참고)
그림 - 하이퍼레저 패브릭 0.6
위의 0.6 도식도와 같이 오더러가 없으며, (컨센서스가 대행함) 보증하는 부분과 커미팅하는 부분이 나뉘지도 않았다.
이 Peer들끼리 아래와 같은 PBFT를 수행했으며 간락하게 설명하면
그림 - PBFT
Pre-prepare단계에서 트랜잭션을 모두 공유하고,
Prepare단계에서 각자 Peer들은 트랜잭션을 받았다는 것을 알리며,
Commit단계에서 각자 Peer들은 이 트랜잭션에 대해서 합의를 해준다라는 것을 모두에게 알리며
마지막으로 동료Peer들의 합의 상태에 따라서 OK인지 아닌지를 각자 확인해서 Reply 해준다.
이 알고리즘은 보통 2/3 이상의 합의가 있으면 통과이고, 대략 2n^2번의 커뮤케이션이 필요하게 된다.
즉 Peer숫자가 50개만되도 엄청 느려진다는 말이다. 처음 하이퍼레저패브릭을 설계했을때, 허가형블록체인으로 소수의 노드를 대상으로 서비스 한다고 생각 했을 테니 일리가 있지만, 무리가 따랐나보다. 1.0에서는 아키텍쳐가 달라진다.
* 하이퍼레저 0.6 PBFT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 근데 중국어라는게 함정 (간자체로 번역하세요)
그림 - 하이퍼레저 패브릭 1.0 Endorsing - Ordering - Validating 3단계 구조
PBFT식으로 Peer들간에 커뮤니케이션 하는 부분이 너무 느려서 없어지고, Endorsing - Ordering - Validating 3단계 구조를 기반으로 합의 알고리즘이 완성된다. Endorsing 에서는 보증역할을 맡은 Peer들이 트랜잭션에 대해 실행을 하고 결과 값 사인한후에 클라이언트에 돌려준다. 여기서 Peer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은 없다. 이런 값을 오더러에게 전달하면 오더러는 트랜잭션에 순서를 매기고, 블록으로 완성 한후 Validator 에게 전달하면 Validatior에서는 보증이 어떻게 되있는지 확인하여 만족 시키면 장부에 기입한다.(좀 더 자세한 설명 여기) 자 이렇게 되면 커뮤니케이션 비용은 확실히 낮아지게 되는데 병목 부분을 생각해보면 3군데 있는데
1. Endorsing 하는 부분에서 체인코드를 실행하는 비용
2. Signning (서명 및 확인)부분이다.
3. 앞으로 말할 Ordering 서비스에 어떤 합의 알고리즘이 들어가냐의 문제이다.
그럼 글 서두에 말한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Ordering 서비스는 합의 시스템을 표현한다." 는 무엇인가?
https://github.com/hyperledger/fabric/tree/master/orderer 다음 링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 Solo ordering 서비스 (테스팅 목적): 쉽게 이용되도록 만들어진 극히 간단한 서비스로써 프로덕션용은 아니다. 싱글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가 모든 클라이언트들에 대해 서비스 한다. 따라서 사실상 합의라는게 없다. availability 나 scalability에 대해 고려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것은 그냥 테스트용~
- Kafka기반 오더링 서비스(프로덕션): Pub/Sub구조의 메세지큐 미들웨어인 Kafka 기반의 ordering service 이다. Peer 오더러 클라이언트 코드가 카프카에 대해 상세히 작성되지 않도록 ab.proto 정의로 이것을 추상화 한다.Kafka는 현재 높은 처리량과 고가용성을 요구하지만 byzantine 내결함성은 요구하지 않는 운영 배치에서 선호되는 선택이다.
- PBFT 오더링 서비스(지연됨): BFT적인 방식에 의해 메세지들을 나열하고 순서 매이기 위한 구현으로 만들어 질 것이다. (현재 개발중)
즉 위와 같이 구현 할 수 있으며, 현재는 Zookeeper/Kafka기반하여 속도중시/부하분산/복제와리더재선출에 의의한 HA/오더러가 순서매기는데 도움/ 정도의 역할로 외부시스템을 이용해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하지만 카프카가 오더러들에 대한 HA까지 보장해주진 않는다. 멀티오더러에 대해서는 node sdk를 사용하는 미들웨어 단에서 잘 작동하는 오더러에 대한 선택을 하는 수동적인 방식이 있는 것 같다. 만약 좀 더 신뢰/오더러에 대한HA를 중시하고 싶으면 BFT계열(PBFT등)를 추가 구현 할 수도 있을것이다. 개인적으로도 허가과정등을 통해 신뢰비용에 대해 어느정도 보완 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Kafka기반이면 충분하지 않나 싶기도 하는데 외부모듈을 무겁게 가져다 사용하는건 문제다. 그리고 Kafka가 하는 역할에 대해 CFT (Crash Fault Tolerance) 같은 용어를 쓰는데, BFT처럼 제대로된(?) 합의 알고리즘이 아니라, 주키퍼-카프카 구성으로 장애에 대한 대처가 가능한 상태에서 오더링을 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개인적으로는 현재 카프카-주키퍼 오더링 부분과 앞으로 나올 Raft식의 오더링에 대한 행위에 대해서 '합의' 는 POW식의 '신뢰의 합의' 는 아니고 고전적인 분산시스템에서의 내고장 합의를 말하는 것이다. (오더러 부분도 각 조직들에 의해 권한을 분산해서 나누어 갖는 형태가 되면 신뢰의 합의까지 되겠지만 확실하지 않다. 만약 그렇게 까지 하는건 좀 오버인거 같다.)
그림 - 하이퍼레저 패브릭 로드맵
구글링을 해보면 위의 표를 많이 볼 수 있는데 1.3 에서는 RAFT오더러, 1.4에서는 BFT오더러의 구현을 계획했는데 2019년 1월 현재 1.4가 출시된 상황에서 어떻게 되었을까?
What’s new in v1.3 에는 RAFT오더러에 관련된 내용이 없다.
What’s new in v1.4 에도 BFT 오더러에 대한 내용은 없다.
그럼 2.0버전에서는 어떻게 될까? 프로젝트 현황에 대해 지라 와 제안문서 살펴보니 RAFT / etcd/raft 기반으로 개발중인듯 싶은데 비교적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BFT처럼 무겁지 않고 CFT 역할에 그치더라도 1) 카프카-주키퍼에 의존하지 않는 오더링 서비스를 위함. 즉 굳이 외부미들웨어 가져다 복잡하게 설치해서 쓸 필요 있냐 하는 2) 차후에 개발될 BFT 개발을 위한 기반쯤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카프카-주키퍼 모델에 비해 성능이 어떨지에 대한 예측 및 어떻게 BFT개발을 위한 기반이 될 까에 대해서는 깊이 파보진 않았다.
제안문서 B.II) Raft 는 어떻게 BFT개발의 주춧돌이 되어 줄 수 있나?
RAFT는 BFT와 마찬가지로 리더 기반 프로토콜입니다. 잘 검증 된 리더 기반 합의 프로토콜을 통합한다는 것은 Fabric이이 프로토콜 군에 대한 합의 된 (confensus) 플러그인 작성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Raft에 대한 실험은 우리가 PBFT 기반 오더링 서비스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연장선 상에서 Raft가 CFT 프로토콜 임에도 불구하고 BFT 컨텍스트에서만 의미가 있는 제안 된 구현에서 특정한 결정을 내립니다. 우리는 그것을 의도적으로 수행하여 BFT 기반 서비스로 전환 할 때 Fabric 핵심 변경 사항의 수를 최소로 유지 하려고 합니다. (역주: Kafka 분산복제처리도 리더기반인데..리더가 읽기/쓰기 담당하고 팔로워는 복제만)
BFT기반 하이퍼레저에 대한 논문
A Byzantine Fault-Tolerant Ordering Service for the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Platform
결국 Pluggable 하기 때문에 업체에 따라서 자신들이 만들어 추가 할 수도 있다지만 하이퍼레저 패브릭 자체에서도 추가하는데 오래걸리는데 이걸 직접 자신의 입맛에 맞게 요리해서 사용하려는 업체가 얼마나 될런지는 모르겠다. 특히 BFT알고리즘에 대한 논문은 많지만 성공적으로 구현하는것은 굉장히 어렵다.
참고로 BFT계열의 컨센서스 플러거블 라이브러리(BFT-SMART)도 있다. 현재 정식버전으로 들어 간것은 아니며 추후 RAFT 이후에 BFT계열로 SBFT가 들어갈지, BFT-SMART가 들어갈지 모르겠다. BFT-SMART는 논문상에 10,000TPS 급의 성능을 보여주며, SBFT는 아직 테스팅된게 없는것으로 알고 있다.
결론 )
개인적으로는 카프카 대체제로는 RAFT로 충분하고 BFT계열은 간단하든 복잡하는 오버스펙이라 시작할맘도 없을 거 같습니다.참고로 JP모건 애들이 만드는 콘소시엄체인은 RAFT랑 IstabulBFT 라는것을 쓰는데 패브릭도 BFT계열을 겨우 오더링하는데 사용 할 바엔 E-O-V 프로세스를 폐기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아마 거기 아키텍트도 똑같은 생각하고 있을듯..ㅎㅎ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RLPX - 메세지 read/write (0) | 2019.01.21 |
---|---|
[이더리움] RLPX - Encryption handshake (0) | 2019.01.21 |
[비트코인] 트랜잭션이 만들어 지는 19단계 (0) | 2019.01.16 |
[하이퍼레저 패브릭] 수동 설치 구성 도식 (0) | 2019.01.09 |
[하이퍼레저 패브릭] Hyperledger fabric 왜 사용하니? (0)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