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파이썬
- 스위프트
- Play2 로 웹 개발
- akka 강좌
- 안드로이드 웹뷰
- 블록체인
- 스칼라 강좌
- Adapter 패턴
- Actor
- 하이브리드앱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Play2
- 파이썬 동시성
- 주키퍼
- 이더리움
- play2 강좌
- 스칼라 동시성
- hyperledger fabric
- 파이썬 머신러닝
- CORDA
- play 강좌
- 하이퍼레저 패브릭
- 스칼라
- 플레이프레임워크
- 파이썬 데이터분석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Golang
- 파이썬 강좌
- Akka
- anorm 이란
- Today
- 234
- Total
- 2,430,522
목록소프트웨어 사색 (72)
HAMA 블로그
1편 언어에서 강력함 과 대중성 그리고 스칼라 이글은 스칼라에 대한 전문적인글이 아니며 , 스칼라의 모든부분을 말하는글은 아닙니다.스칼라의 함수자(Functor) , 컬렉션 및 유틸리티 에 대해서 한정되있으며, 먼저 스칼라말고 다른 여러가지 언어들에 대해서 말하고도 있습니다. 제목에 일반적이라고 붙힌이유는 , 스칼라의 다른 기능들 , 소위 Active Object & Actor Pattern 기반의 동시성 구현라이브러리로 알려진 아카라든지,콤비네이터를 이용한 인터프리터 개발같은것들을 대중적이라고 보기엔 무리라고 판단하였기에 그런것들을 제외한 극소수의 내용들로 이루어져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아래 글에서 예시로 보여지는 (슈도)코드는 문법적으로 정확치 않은 예 이며, 글에 쓰여진 모든 지식은 저의 것이아니라..
2편. 여러언어를 통해본 함수형 스타일 ( 함수포인터,함수자,람다 ) 본글은 멀 주장하거나 전문적인 글이 아니라, 정보를 공유하기위한 모음글입니다. 시간이 될때 관심이 있으면 편하게 읽어보시면 될듯합니다. 같이 익숙해져가는게 목표입니다.먼가를 주장하는글은 1편 언어에서의 강력함과 대중성 그리고 스칼라 http://okky.kr/article/275634 에 있습니다. 참고로 함수형이라는 말에는 다양한 개념들이 있으나 이 글에서는 함수를 매개변수로 넘기는 스타일들부터 익숙해지자는것에 한정되있습니다. 함수 포인터의 정의는 전달가능한 행위의 시작위치! 라고 말할수있으며 사용이유로는 아래와 같이 3가지정도를 말할수있을듯 합니다. 1번이 가장 핵심이구요 .람다도 마찬가지로 지연호출이 핵심중 하나입니다. 1. 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