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드로이드 웹뷰
- 스위프트
- 블록체인
- play 강좌
- 이더리움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 하이브리드앱
- Play2
- 그라파나
- 파이썬 동시성
- Golang
- Play2 로 웹 개발
- hyperledger fabric
- Actor
- 스칼라
- 주키퍼
- 파이썬
- Akka
- 스칼라 강좌
- 파이썬 강좌
- 스칼라 동시성
- akka 강좌
- 하이퍼레저 패브릭
- CORDA
- 파이썬 머신러닝
- 플레이프레임워크
- Hyperledger fabric gossip protocol
- Adapter 패턴
- play2 강좌
- 파이썬 데이터분석
- Today
- Total
목록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2)
HAMA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fyEr/btqNhbBi6q8/bWANyzozFFKKESPSEVkYxK/img.jpg)
개인적으로 비트코인,이더리움만 블록체인 플랫폼이라 생각하지만, PBFT나 DPos를 사용한 체인들도 불록체인이라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틀렸다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네트워크 참여가 제한된 콘소시엄형 블록체인 (분산장부라고도 말하는)은 나름 "신뢰비용" 을 줄이는데 잘 사용 될 수 있는 자질을 가졌으므로 이것들 또한 블록체인이라고 불리는데 이제는 순수탈중앙주의자 빼고는 업계에서 합의를 한 분위기인거 같기도 하다. 당장의 호구지책도 중요하니까. 가끔 분산장부와 분산DB가 무슨 차이냐라고 묻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도 큰 차이가 있는데, 첫째 악의의 노드(비잔틴)를 감안하냐, 둘째 불변이 필수적인 데이터만 저장되느냐, 마지막 세째가 바로 여기서 심플하게 이야기할 거버넌스 문제이다. 최근 공공기관이라든지 여러 블록체..
엔터프라이즈향 블록체인 비교 * fabric과 Goquorum등 모든 컨소시엄 블렉체인의 사용예에서 어떻게 거버넌스를 이루어서 어떻게 사용했다라는 구체적인 기술 정보 및 비용감소에 대한 결과 정보가 부족해서 아쉽다. (사용 결과에 대한 효율 증가 분석표같은건 기대도 안함) *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진짜 컨소시엄을 해서 제대로 합의하고 견제하면서 하려면 Fabric을 사용해야 하는게 좋으며 (기능셋이 많다.) 좀 간략히 사용하려면 quorum이나 Besu중 아무것이나 선택해도 된다. Corda는 최근 거의 사용되지 않는 듯하며, CDBC쪽에서나 소식이 들리는 듯 하다. * 성능의 경우 체감상 예상외로 Fabric이 빠른데.. (Fabric > GoQuorum > Besu) 전체 구조상으로는 동일 RAFT컨센..